• 나의 활동
  • 로그인
  • 회원가입
DMZ생태연구소
  • 소개
    • 주요사업
    • 오시는 길
  • 연구 및 협력
    • 논문
    • 학회발표
    • 단행본
    • 보고서
    • 언론보도
  • 생태학교
    • 들꽃학교
    • 철새학교
    • 자연감수성학교
    • 활동 게시판
  • 청소년탐사대
    • 탐사대 게시판
    • 탐사 후기
  • 생태갤러리
    • 🌿 식물
    • 🦅 새
    • 🐇 포유동물
    • 🐞 곤충·거미
    • 🐍 개구리·뱀
    • 🍄 버섯·지의
    • 🐟 물속생물
    • 🐌 기타생물
    • 🏞 생태환경
    • 🗨 활동&행사
  • 참여마당
    • 공지 및 문의
    • 프로그램 신청
    • 자유게시판
    • 행사일정
페이지 선택

연구 및 협력

  • 논문
  • 학회발표
  • 단행본
  • 보고서
  • 언론보도

비무장지대(DMZ)에서 새로운 산림습원 발견

작성자
김승호
작성일
2022-02-28 22:34
조회
90

비무장지대(DMZ)에서 새로운 산림습원 발견







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20063657&fileSn=3

- 김포, 파주지역 민통선 내 7개소(6.5ha), 희귀식물 다수 서식 확인 -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DMZ생태연구소(소장 김승호)와 함께 DMZ 일대 서부지역(김포, 파주) 민통선 내에서 새로운 산림습원 7개소를 발견했다.

* 산림습원: 산림의 습지뿐만 아니라 과거 화전, 경작 등의 활동으로 형성된 수분을 다량 함유한 지형 및 수분이 공급되는 지점. 산림생태계에서 수생태계와 산지 환경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지역

국립수목원은 국내 산림습원 중 생물다양성이 높은 455개소에 대하여 3년 주기로 정밀조사를 시행하며 관리하고 있으나 일반인의 접근이 어려운 민통선 내에서의 산림습원 발견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새롭게 발굴된 산림습원은 과거 경작지였던 묵논 유래 2개소, 자연습지 3개소, 사방댐 건설로 인한 인공형 습지 2개소로 총면적 6.5ha(64,923㎡)이다.

특히 이번 신규 산림습원에서는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인 양뿔사초(멸종위기종), 층층둥굴레(위기종), 왕씀배(취약종) 등 9분류군과 습지에서만 분포하는 물질경이 등 절대습지식물도 확인되어 보전가치가 매우 높은 곳이다.

하지만 민통선 안쪽 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가시박과 같은 확산력이 높은 침입외래식물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고 군사훈련 등에 의한 인위적 훼손이 확인되어 지속적이고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DMZ 내 우수한 산림습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 추진해 적극 보전할 계획”이라고 했으며,

최영태 국립수목원장은 “기후변화로 사라지는 산림습원을 보전 및 복원하기 위한 장기적인 연구계획을 수립하여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뉴시스] 해피트레인 환경캠프에 행복이 한 가득
[cpbc뉴스] 70년 금단의 땅…DMZ 바람직한 활용 방안은? »
목록보기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DMZ생태연구소 │ DMZ Ecology Research Institute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513 도서출판 날마다 404호 │ E-mail : dmzecori@dmz.or.kr │ TEL : 031-955-1550 │ FAX : 031-955-1551

포자식물

포자식물은 종자식물과 달리 씨를 만들지 않고, 대신 포자를 퍼뜨려 번식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포자식물은 꽃을 피우지 않기 때문에 민꽃식물이라고도 부른다.

종자식물

종자식물은 씨를 만들고 이를 퍼뜨려 번식하는 식물을 의미하며 현존하는 많은 종류의 식물이 이 무리에 포함된다. 가장 진화된 형태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 때문에 꽃식물이라고도 부른다.

테스트

속씨식물(-植物, Angiosperm)은 식물군의 하나로, 대부분 씨방 속에 씨가 들어 있는 특징이 있다. 개화식물, 피자식물, 꽃식물, 꽃피는 식물이라고도 한다. 속씨식물 반대 개념으로 겉씨식물이 있다. 보통 속씨식물은 활엽수, 겉씨식물은 침엽수로 분류한다.